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 총정리

by 스포온지밥 2025. 3. 31.

 

해외여행이나 국내 비행 시, 꼭 챙기는 필수품 중 하나가 바로 보조배터리입니다.

 

하지만 최근 항공사 보안 기준이 강화되면서,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 규정도 달라졌습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최신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항공사별 차이점을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
 

 

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본 규정 (2025년 기준)

대한민국 국토교통부와 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의 기준에 따라, 보조배터리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기내에 반입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용량 100Wh 이하: 기내 반입 가능, 별도 승인 없이 휴대 가능
  • 100Wh 초과 ~ 160Wh 이하: 항공사 사전 승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
  • 160Wh 초과: 기내 반입 금지, 위탁 수하물로도 불가

💡 참고: 대부분의 일반적인 보조배터리는 100Wh 이하이므로, 문제없이 기내에 반입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고용량 제품은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 

Wh(와트시) 용량 계산법

Wh 표기가 없는 경우, 아래 공식으로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:

Wh = (mAh × V) ÷ 1000 예: 20,000mAh × 3.7V ÷ 1000 = 74Wh

 

 

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

 

각 항공사마다 세부 규정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, 탑승 전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항공사 100Wh 이하 100~160Wh 160Wh 초과
대한항공 ✅ 가능 ⚠️ 사전 승인 필요 ❌ 반입 금지
아시아나항공 ✅ 가능 ⚠️ 사전 승인 필요 ❌ 반입 금지
제주항공 ✅ 가능 ⚠️ 사전 승인 필요 ❌ 반입 금지
진에어 ✅ 가능 ⚠️ 사전 승인 필요 ❌ 반입 금지

 

대한항공 보조배터리 바로가기

 

아시아나 보조배터리 바로가기

 

보조 배터리 · 전자 담배 기내 반입 및 보관 방법 안내│아시아나항공

Asiana Airlines

flyasiana.com

 

제주항공 보조배터리 바로가기

 

제주항공

대한민국 No.1 LCC 제주항공입니다.

www.jejuair.net

 

 

 

주의사항 및 팁

  •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 수하물로 휴대해야 하며, 위탁 수하물에 넣는 것은 금지입니다.
  • 보조배터리는 개인당 최대 2~3개까지 허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셀프 제작 배터리, 외부 포장이 없는 배터리 등은 반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  • 항상 정품 케이스 및 라벨 표기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세요.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30,000mAh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 가능한가요?

A. 전압이 3.7V일 경우, 30,000mAh는 약 111Wh로 계산됩니다. 항공사에 따라 사전 승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Q. 보조배터리를 위탁 수하물에 넣으면 안 되나요?

A. 네, 리튬 배터리는 폭발 위험 때문에 기내 반입만 허용되며, 위탁 수하물에는 절대 넣으면 안 됩니다.

Q. 보조배터리 외에도 기내 반입이 제한되는 물품이 있나요?

A. 네, 스프레이, 라이터, 위험 화학물질 등 다양한 품목이 제한됩니다. 항공사별 위험물 목록을 참고하세요.

 

 

마무리

 

보조배터리는 현대인의 필수품이지만, 항공 안전을 위해 철저한 규정이 적용됩니다.

여행 전 꼭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항공사 규정 체크를 통해 불필요한 불이익을 피하시기 바랍니다.

 

2025년 최신 규정을 숙지하고 안전하고 스마트한 여행 되세요!